Pokarekare ana Nga wai o Waiapu
와이아푸의 바다엔 폭풍이 불고있지만
Whiti atu koe E hine Marino ana e
그대가 건너갈 때면 그 바다는 잠잠해질겁니다
E hine e Hoki mai ra
그대여, 내게로 다시 돌아오세요
Ka mate ahau i Te aroha e
너무나도 그대를 사랑하고 있어요
Tuhituhi taku reta Tuku atu taku ringi
그대에게 편지를 써서 반지와 함께 보냈어요
Kia kite to iwi Raruraru ana e
내가 얼마나 괴로워하는지 사람들이 알 수 있도록 말예요
E hine e Hoki mai ra
그대여, 내게로 다시 돌아오세요
Ka mate ahau i Te aroha e
너무나도 그대를 사랑하고 있어요
E kore te aroha E maroke i te ra
뜨거운 태양아래에서도 내 사랑은 마르지 않을 겁니다
Makuku tonu I aku roimata e
내 사랑은 언제나 눈물로 젖어있을 테니까요
E hine e Hoki mai ra
그대여, 내게로 다시 돌아오세요
Ka mate ahau i Te aroha e
너무나도 그대를 사랑하고 있어요
18세기 유럽인들이 오늘날 뉴질랜드로 알려진 땅을 발견했을 때
그 곳 원주민에게는 풍부한 음악적 전통이 있음을 알게 되었는데
이 곡도 그런 전통에서 불러진 곡 중 하나이다.
뉴질랜드에 로토루아라는 호수가 있다.
아름다운 자연경관으로 뉴질랜드에서도 몇 손가락 안에 꼽히는 이 호수는
수백 년 전 마오리족이 여러 족속으로 나뉘어 다툼을 벌였던 곳이다.
로토루아 호수 안에 있는 모라이아 섬에는 아레하 부족이 살았으며
로토루아 호숫가에는 휜스터 부족이 살고 있었다.
아레하 부족 추장 딸인 ‘하네모네’ 와 휜스터 부족의 젊은이 ‘두타니카’는
처음 본 순간 서로 사랑하게 되었는데
두 부족의 오랜 반목으로 자유롭게 만날 수 없게 되자
‘두타니카’는 밤이 되면 호숫가에 나와 피리를 불었고
그 피리소리를 들은 ‘하네모네’는 카누를 저어 호수를 건넜다.
‘하네모네’의 아버지가 이 사실을 알고 불같이 화를 내면서
섬에 있는 카누를 모두 태워버렸다.
하지만 그날 밤 피리소리가 울려 퍼지자
‘하네모네’는 표주박 수십 개를 허리에 동여매고
호수를 헤엄쳐 연인 ‘두타니카’ 에게 갔다.
목숨을 건 딸의 사랑에 아버지는 굴복하고 말았고
비로소 두 사람의 사랑은 이뤄졌다.
그리고 두 부족도 마침내 화해했다고 한다.
이 노래는 한국전에 참전했던 5300여명의 뉴질랜드 병사들에 의해서
한국에도 알려지게 되었고
우리에게 연가라는 번안곡으로 불러졌다.
이 곡에 등장하는 강 이름은 솔로가수 출신지에 따라 그 지역의 강 이름으로 바꿔 부른다.
노래를 부른 ‘Jade Eru’는 마오리 부족 출신으로,
7살 때부터 지역 TV방송에서 활동을 한 연기자이며, 피아노 연주자, 에어로빅 강사로도 활동하며
클래식부터 팝까지 다양한 장르에 재능을 보이는 가수로 알려져 있다.
'음악감상실 > 뉴에이지·클래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클린의 눈물 / 오펜바흐 (0) | 2016.09.06 |
---|---|
아르페지오네 소나타 / 슈베르트 (0) | 2016.09.06 |
정세훈 - 울게 하소서 (Lascia Ch'io Pianga) (0) | 2007.11.05 |
황병기의 미궁(迷宮) (0) | 2007.09.20 |
필리파 지오다노(Filippa Giordano) / Casta Diva (0) | 2007.05.28 |